티스토리 뷰

목차



    공무원-연봉-및-실수령액

    공무원 월급에 가장 기본이 되는 게 봉급표입니다. 2023년을 맞아 바뀐 부분이 있는데요. 전년도 보다 다소 인상이 되었습니다. 공무원 연봉 및 실수령액에 대해 봉급표를 참고하여 알려 드리려고 하는데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공무원 연봉 인상률

    월급 인상률의 경우 1.7%로 전년도 보다 소폭 상승했는데요. 아직 정확한 급여 테이블이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22년도 금액에서 1.7% 정도 올랐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정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23년 5급 이하 보수를 1.7% 인상하기로 결정했고, 4급 이상은 동결, 장관, 차관급 이상 고위 공무원의 경우, 보수를 솔선수범 차원에서 10% 반납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공무원 연봉 실수령액

    공무원-봉급표

    위에서 말했듯이 1.7% 인상 시 봉급표에 따른 월급을 계산해보려고 하는데요. 9급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본인의 급수가 더 높다면, 사진의 봉급표를 참고해서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일반직 기준 9급 1호봉의 월급은 1,686,500원이며, 1.7%를 더하게 되면 1,715,170원, 약 171만 원 정도가 됩니다.

    공무원-호봉별-인상-급여

    위의 표에서 9급 일반 행정직 기준으로 호봉에 따른 인상금액을 계산해 보았는데요. 기본적인 수당이며, 개인 수당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

    공무원-연봉-개인수당

    간단히 설명하자면, 9급 월급에 상여수당, 가계보전 수당 등이 있으며, 신분이 유지되면 받게 되는 정근 수당이 있습니다.

     

    즉, 9급 연봉에는 12개월에 해당하는 기본적인 본봉이 있으며, 모든 공무원들이 공통적으로 받는 수당인 직급 보조비, 정액 급식비, 대민 활동비를 12개월로 곱하면 실제 연봉이 됩니다.

     

    또한, 추석과 설날에 지급되는 명절 수당의 경우는 기본급의 60%로 계산되어 연봉에 두 번 포함되는데요. 정근수당은 1년에 2번, 성과 상여금의 경우는 연봉에 한번 포함됩니다.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아래 현직자의 급여명세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무원-급여명세서

    연봉 계산기

    자신의 연봉이 궁금하다면 손쉽게 계산해 볼 수 있는데요. 아래 공유한 링크를 통해 공무원 연봉과 일반 연봉 계산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공무원 연봉 계산기 바로가기

     

    일반 회사원 연봉 계산기 바로가기

     

    이상으로 공무원 연봉 및 실수령액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많은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