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실업급여 조건, 수급기간, 신청 방법 총정리! 퇴직 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빠르게 신청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 아래에서 본인이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를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
실업급여란?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실직 후 구직활동을 하는 동안 일정 기간 동안 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실업급여 지급 목적
📌 실직 후 생활 안정
📌 적극적인 구직활동 지원
📌 재취업 촉진
단순 퇴사(본인 귀책사유)나 자영업자는 대상이 아닙니다.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기본 조건
📌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최소 180일 이상 (최근 18개월 기준)
📌 비자발적 퇴사 (회사 사정, 계약 만료, 권고사직 등)
📌 적극적인 구직활동 진행 (매월 1~2회 구직활동 증빙 필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는 경우
📌 본인 귀책사유로 퇴사 (ex. 개인 사정, 이직, 자영업 시작 등)
📌 근무 기간이 180일 미만
📌 재취업 의사가 없는 경우
회사의 강요로 자진 퇴사한 경우, 정당한 사유로 인정받으면 실업급여 가능!
실업급여 수급기간
실업급여는 근속연수와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 실업급여 지급 기간
연령 |
근속기간 |
지급 일수 |
---|---|---|
50세 미만 | 1년 이상 ~ 3년 미만 | 120일 |
50세 미만 | 3년 이상 ~ 5년 미만 | 150일 |
50세 미만 | 5년 이상 ~ 10년 미만 | 180일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1년 이상 ~ 3년 미만 | 180일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3년 이상 ~ 5년 미만 | 210일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5년 이상 ~ 10년 미만 | 240일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10년 이상 | 270일 |
실업급여는 4주 단위로 지급되며, 구직활동을 증빙해야 합니다.
실업급여 신청 방법
실업급여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신청 방법
1.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2.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로그인
3. '실업급여 신청'메뉴 선택
4. 구직등록 및 교육 이수
5. 신청서 제출 후 심사 진행
6. 승인 후 매월 구직활동 증빙
온라인 신청 전, 워크넷(Worknet)에서 구직등록 필수!
✅ 방문 신청 방법 (고용센터 직접 방문)
1.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
2. 신청서 및 퇴사증명서 제출
3. 구직등록 및 교육 이수
4. 심사 후 실업급여 수급 시작
방문 신청 시 신분증 필수!
실업급여 지급액 계산 방법
실업급여는 평균임금의 60%를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 실업급여 지급액 계산 공식
실업급여 1일 지급액 = 평균임금 × 60%
- 최대 지급액: 1일 66,000원
- 최소 지급액: 1일 최저임금의 80%
정확한 금액은 아래에서 계산해 보세요!
실업급여 유의사항
- 🔹 정당한 사유 없는 자발적 퇴사는 실업급여 대상 아님
- 🔹 수급 중 재취업 시 지급 중단
- 🔹 허위 구직활동 시 지급 정지
- 🔹 해외여행 시 사전 신고 필수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반드시 정기적으로 구직활동을 해야 합니다!
마무리
실업급여는 실직 후 생활 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 본인의 조건을 확인하고, 빠르게 신청하세요!